레이블이 fender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fender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7년 10월 18일 수요일

Fender 89 'Corona Era' 62 Vintage Reissue Stratocaster

공연이나 블로그를 보신 분께서는 아실, 나의 손에 가장 오래 생존해있는 메인 기타이다.
2005년에서 2006년 사이에 낙원 '빅X악기' 에서 구입해서 지금까지 연주하고 있다.

89년 일명 'Corona Era'로 일컬어지는 시기의 끝자락에 생산된 리이슈 모델이다.
펜더의 두번째 흑역사를 장식한(74년 CBS 대참사 이후로), 90년대 N모델 리이슈가 아니라 나름 그 가치를 인정받는 기타이다. 내기타 자화자찬 쩌네 ㅎㅎㅎㅎㅎ
1년만 더 늦게 나왔으면 바로 망할뻔 ㅎㅎㅎ

실제로 빈티지 리이슈 원년인 82년부터 84년까지의 Fullerton, 85년부터 89년까지의 Corona는 오리지널 만큼은 아니더라도 가치를 인정받는 기간의 기타들이다. 그 직전의 74년 이후 모델들과 90년대 N모델이 하나같이 쓰레기인건 함정...
이미 컬렉팅으로는 관심도 없었고 오로지 플레이 목적으로 구입한 기타였다.
그래서 은근 손을 많이 댔다. 이미 돌이킬수 없는 ㅎㅎㅎㅎ
헤드에 담배자국도 내놨고...

Thin Lacquer Finish이며, 직역하면 '얇은 래커 마무리'? 정도 되지 않을까 ㅎㅎㅎㅎㅎ
자세히 보면 래커 피니쉬 특유의 크랙이 보인다.
플러튼, 코로나가 가치를 갖는 포인트 중 하나이다. 상당히 얇게 칠해져 있다.
얇게 칠할수록 바디 울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건 두말 할 필요 없는 사실이고.
요즘 리이슈도 이정도로 얇지는 않은 듯 하다.

이 기타의 년도를 마지막으로 펜더는 90년대 N모델이라는 희대의 망작 흑역사을 선보인다.
피니쉬를 래커가 아닌 우레탄으로 바꾼것이다. 아니 빈티지 리이슈에 우레탄이라니!!!!!
지들도 흑역사인건 아는지 2000년도부터 다시 래커 피니쉬로 회귀한다. 참으로 다행인 일이 아닐 수 없다.

셀프 레릭 해보겠답시고 사포 댔다가 망한 흔적까지 그대로...
일렉트로닉스 쪽도 손을 많이 댔는데 픽가드에 가려서 안보이지만 리어에 험버커를 박는 뻘짓도 해봤었다. 결국 다시 순정으로 돌아왔지만.

최근엔 Tone Capacitor를 70년대 초에 생산된 Ceramic Cap으로 교체했다.
캐패시터에는 큰 관심이 없었지만 한 블로그를 발견하게 되고...
https://m.blog.naver.com/jimmylab/220955244838
전에도 언급한 바 있는 '브릴리언톤 인스트루먼츠' 이소장님의 포스팅이다.

솔직히 말하면 첨엔 살짝 약팔이 냄새가 ㅎㅎㅎㅎ 났었는데 역시 궁금한걸 못참는지라 속는 셈치고 달아봤는데 헐.......
뭔가 그냥 음색이 바뀐다는 사실에 큰 충격을 먹고 가지고 있던 물론 텔레도 냉큼 바꿨다.
빈티지 납과 빈티지 벨덴 배선재로 와이어링을 새로 바꾼 것은 덤. 이또한 분명히 변화가 있다는 사실에 다시 한번 놀랐다. 솔직히 막귀라고 생각했는데 내게도 들릴 정도면.

기존에 달려있던 순정 캡은 정체를 모를 필름 캡이었다.
그리고 브릿지 픽업도 톤 노브가 먹게 배선을 해놓은 상태였다. 근데 무언가 브릿지 픽업 소리가 울부짖는 느낌이 잘 안나는 거였다.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리이슈의 달리는 캐패시터의 용량은 0.1uF이고 캐패시터는 톤을 전부 열어놔도 (즉 톤노브를 안돌려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몰랐기 때문에 위에 얘기한 현상에도 갈피를 못잡았던 것이다. 브릿지 픽업 자체에서 톤을 한번 먹고 들어갔으니.

현재 달린 캐패시터는 넥&미들 0.05uF, 브릿지 0.02uF 용량으로 장착되어 있다.
브릿지 특유의 고음을 최대한 살리면서 톤을 조정 가능하게 한 일종의 하이브리드 느낌이랄까? 이소장님의 추천으로 달게 되었는데 상당히 만족 중이다.

나머지 포텐셔미터, 셀렉터, 픽업, 브릿지, 암 등은 전부 순정.
현재 계획중인건 Original 64 Mustang 볼륨, 톤 포트를 떼서 여기에 달아보는거다 ㅎㅎㅎ
미친것같다 ㅎㅎㅎㅎㅎㅎㅎ


순정 파츠들을 잃어버리고 차선책으로 선택한 Fender Pure Vintage Saddle, Spring

이전에는 Raw Vintage Saddle & Spring을 거의 5년 가량 사용해왔다.
Raw Vintage Saddle이 처음 나왔을 당시에 아주 Hot한 아이템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나도 그 대세에 편승해서 한동안 오래 잘 썼다. 내친김에 스프링도 동사의 제품으로 바꿀 정도로.
발상이 뭔가 특이했고, 진짜 빈티지한 소리를 내준다고 믿고 잘 썼다. 실제로 소리가 다르기도 했고.
뭔가 음역대가 넓어지는 느낌이 확실히 있다.

근데 게속 쓰다보니 뭔가 헐렁~ 하고 멍멍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는 거였다.
그래서 이것도 순정으로 돌아가기로 결심! 하고 쟁여놨던 순정 파츠들을 찾았으나 찾지 못하고 일본 라쿠텐으로 주문을 넣게 된다.

Pure Vintage Series라는 라인업으로 빈티지 펜더에 쓰였던 픽업, 노브 ,헤드머신, 브릿지 어샘블리 등등 하여튼 기타 바디를 제외한 모든 것들을 Fender에서 오리지널 사양 그대로 복각했다고 한다. 결국 펜더도 이게 돈이 된다는걸 깨달은 셈이지 후후
요즘 나오는 New Vintage Reissue 모델에 순정 파츠로 장착되는 그것들이다.

그래... 내 펜더는 이런 소리였어... 하는 생각이 절로 들게 만드는 성공적인 파츠 교체였다.
Raw Vintage 는 개인적으로 펜더보단 써나 타일러 같은 상당히 솔리드(딱딱한듯한?) 악기의 그 느낌을 어느정도 완회시켜주는 목적으로 사용했을때 더 어울리는 거 같다.
빈티지 리이슈에는 안맞는걸로 내 멋대로 결론을 내려본다.

성격이 막 꼼꼼하고 그러질 못한지라 기타 다루기를 좀 많이 거지같이 다룬다.
항상 드는 생각이 만약 내 기타들이 말을 할수 있다면 나에게 '차마 여기에 적을수 없는 표현' 들을 엄청 쏟아낼거라는 생각을 문득 하곤 한다.

열심히 아껴주고 연주하면 더 좋은소리로 보답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2017년 5월 30일 화요일

20170529 김창완밴드

오랜만의 Space 공감 녹화를 다녀왔다.
아무리 생각해도 너무 좋은 프로그램인 것 같다.

이번 공연을 마지막으로 일산에 위치한 EBS 신사옥으로 옮긴다고 한다.
그리하여 '굿바이 매봉' 이라는 주제로 촬영을 진행하게 되었다.


저 글귀를 찍고 싶었던건데 간식에 더 눈이 가는건 기분탓인가


대략 이런 분위기이다. 공감 공연장은 항상 느끼지만 분위기가 너무 좋은 것 같다.

이번 녹화로 나는 4번째 공감 출연인데, 김창완밴드(산울림 포함)가 최다 출연이란다.
무려 스무번............................. 창완아저씨는 한 여섯?일곱번? 정도 나온줄 아셨단다...


대망의 첫 출격! Wavcustom Oldschool (EL34 Ver) + Marshall 2061CX(Celestion G12H-30) 조합이다.
본래 6L6 파워관을 장착하고 있는 앰프이지만 EL34 버젼도 운좋게 사용해볼 기회가 되어서 냉큼 들고 왔다. 아쉽게도 판매되는 모델은 아니다.

빌더님의 말에 의하면 'Bright가 덜한 Old Marshall Style' 이라고 하시는데 딱 적절한 표현 같다.
이전에 주로 사용해온 Marshall 2061X 보다 고역대가 덜 쏘면서 빈티지 사양의 그것 같은 사운드를 내어준다.

물론, Cabinet의 영향도 무시 할 순 없을 것이다. Greenback에서 약간의 Mid Scoop, 보다 강조된 Bass, Treble 성향을 들려주는 Celestion G12H-30의 매칭에서 올드스쿨은 꽤나 Chunky한 느낌을 들려주었다. 퍼지지 않고 직진성 있는 그런 까슬까슬한 느낌이었달까.

근 몇개월간 계속 연주하면서 느끼지만 정말 잘 만들어진 앰프라고 생각한다.

사실 마샬 사운드의 절반가량은 거의 Celestion Greenback Sound가 아닐까 한다.

올드스쿨의 사운드가 궁금하시다면 본방 시청 하시길.^^


요즘 계속 사용해오고 있는 페달보드이다.

Guitar -> Brilliantone Fuzz Proto -> HSW Angel Dust -> Moollon Sol Fuzz -> EHX Micro POG -> Boss DS-2 Japan -> HSW Blue Gibeon -> Moollon SLO 201 -> Ibanez WH10 Wah -> Boss CE-2 -> EHX Superego -> Moollon Distortion -> Line6 M9 의 순서이다.

브릴리언톤 퍼즈는 우여곡절이 좀 있었는데, 아직 프로토타입이어서 그랬는지는 모르겠지만 바이패스 상태일때도 노이즈가 좀 있었다.
하나 걸리는 점이 있는데... 건전지를 깜빡하고 안갈았었다 ^^;;

아쉽게도 노이즈 때문에 본 녹화때 사용은 하지 않고 빼두었었다.
리허설때 들어본 소리는 아 정말 흉폭하다 내가 퍼즈다 이런 느낌...?


무대의 모습은 대략 이런 그림.

요즘 베이스를 연주하는 최원식 형께서 즐겨 사용하는 앰프가  Fender Super Bassman Amp 인데 저번 단공때도 그렇고 너무 살벌한 소리를 들려준다.
너무너무 풍부하고, 부담스럽지 않은 두툼함... 정말 음악적인 사운드를 내어준다.

그래... 역시 펜더는 베이스맨을 다시 출시 했어야 했다. 기타도 좀 꽂아서 치게.

원식형의 연주력과 베이스맨이 만나니 진짜 매번 공연때 베이스 소리 들으면서 은혜 받는 기분이다.
사실 모든 분들의 연주에 항상 은혜를 받곤 한다. 워낙에 경륜이 풍부하신 분들이라 ㅎㅎ

본 녹화 직전에 매니저님께서 찍어주신 멤버 단체샷! 얼굴 부은거 봐라.

몇번 촬영을 하진 않았지만 공감은 항상 그렇다. 뭔가 집에 온 느낌이랄까. 공연장이 주는 특유의 분위기가 있다.
소극장 규모의 공연장엔 단순히 소극장 이상의 무언가가 있는 듯 하다.

녹화가 끝나고 서래마을로 건너가 뒷풀이...
그 다음은 잘 생각이 안 난다 ^^;;;;;; 그냥 엄청 마셨다.

2017년 5월 8일 월요일

웨이브커스텀 올드스쿨 헤드 Wavcustom Oldschool Head 50W Review (Part.2)

사상 최악의 미세먼지 농도를 기록하고 있는 요즘이다.
이럴땐 밖에 나가는건 잠시 미뤄두고 곡 쓰고 기타 치며 노는게 최고 인것 같다^^

저번 시간에 이어서... 웨이브커스텀의 Flagship Model인 올드스쿨 헤드의 두번째 리뷰를 포스팅해보려 한다. Part.1의 리뷰는 -> https://moogfuzz.blogspot.kr/2017/04/wavcustom-oldschool-head-50w-review.html




(주변이 너저분한건 그냥 넘어가 주시길^^;;)

테스트에는 먼저 89년산 Fender 62 Reissue 가 사용되었으며 (연희동에 위치한 브릴리언톤 인스트루먼츠 에서 배선, 캐패시터를 최근에 교체하였다. 이 부분도 차후 리뷰 예정이다.) 페달보드와의 조합 테스트에는 사진과 같이 요새 사용하고 있는 페달보드 중 HSW Angel Dust, Blue Gibeon 을 제외한 나머지 페달이 사용되었다. 추가로 브릴리언톤에서 개발중인 Brilliantone Fuzz Prototype 도 사용되었다. 역시 차후 리뷰 예정.

페달보드의 비하인드 스토리는 -> https://moogfuzz.blogspot.kr/2017/03/blog-post.html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평소 거의(단 한번도 라고 해도 좋을듯 싶다 ㅎㅎㅎㅎㅎ) 찍지 않던 동영상을 찍어보았다. 아이폰7 자체녹음이라 음질이 좋지 못한점은 양해를 ^^;;
제대로 마이킹을 하고 촬영, 녹음하고 싶었으나 귀찮아서... 사실 바지 자랑하고픈 마음이 더 컸다.

아쉽게도, 파워앰프 브레이크업 사운드는 촬영하지 못했다. 자체 녹음이어서 녹음되는 소리 에 과도한 Compression이 우려되기도 하고 무엇보다 50W를 너무 안일하게 생각했다. 한 10초? 정도 테스트하고 '아 이 사운드는 따로 합주실 빌려서 찍던가 해야겠다.' 하는 생각이 들었다. 건물주 할아버지께 쌍욕먹고 쫒겨나고 싶지 않다 ㅎㅎㅎㅎㅎㅎㅎㅎ


먼저, Super Clean Sound 샘플부터. 기타와 올드스쿨만으로 연주하였다.(아 이거 동영상 크기조절 안되나...)



다음은 세팅을 약간 변경하여 Woody Fat Sound 샘플. 게인 노브 Max 이다. 역시 기타와 올드스쿨만의 조합이며, 톤 노브로 전체 엣지를 컨트롤 하였다.



다음엔 페달보드를 연결하여 연주해 보았다. 얼마나 페달보드 플랫폼의 특화 되어 있는지에 포인트를 두고 시청하시면 좋을것 같다.


마지막으로, 브릴리언톤 인스트루먼츠의 Prototype Fuzz와의 사운드샘플이다.



위 4개의 영상에 이 앰프의 모든 특성과 사운드를 담아내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워낙 급하게 찍기도 했고, 요새 거주하고있는 동네애 중대형 오피스텔들이 파워풀하게 올라가고 있어서 공사 소리가 생각보다 시끄러워서 원활한 촬영이 되지 않은 부분도 있다.

올드스쿨을 받고 한달 조금 넘게 테스트해본 바로는, 상당히 심지 있는 Fat 하고 펀치감 있는 사운드가 특징이라는 점이었다.
'페달보드 플랫폼에 최적화된 앰프' 라는 마케팅 문구에 걸맞게 세추레이션도 딱 Dirty Clean 정도까지만 올라가는 느낌이고, 적어도 내가 사용하고 있는 페달들과는 아주아주 환상적인 궁합을 보여주었다.

전반적으로 쏘지 않고 부드럽다. Treble 노브를 올림으로서 증가하는 고역대도 쏜다는 느낌보다 '오 뭔가 윤곽이 더 단단해지는걸?' 이란 느낌이다. Presence 노브와 적절히 조합하여서 꽤나 스파클링한 클린 사운드도 연출이 가능하다. 
미드레인지가 아주 단단하다. 건조한 느낌보단 약간 텐션이 느껴지는 탱탱함? 이라고 표현 해야할듯 싶다. Mid Scoop 사운드는 확실히 아니다. 과하지도 않다. EQ와 Gain 노브를 잘 조정함으로써 어느정도 브레이크업 앰프와 비슷한 느낌의 질감도 연출 가능하다.

무엇보다, 빈티지하다. 이런 사운드 특징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이 앰프를 아주 높게 평가하고 싶다. 페달보드 플랫폼으로 각광받는 (대개 클린에서 아주 약간의 크런치 정도까지의 앰프) 타 브랜드의 앰프와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

사실 여러 브랜드의 앰프들은 퀄리티의 문제보단 지향하는 사운드가 다르다고 생각한다. 대표적인 페달보드 플랫폼으로 거론되는 부띠끄의 대명사 Matchless HC-30 (가격은 거의 5배 이상 차이 날듯 싶다 ^^;;) 은 Vox 틱한 샤베트 같은 질감과 특유의 Scoop Mid 사운드가 매력이라면 올드스쿨은 그거와는 정 반대의 소리이다. 라운드하고, 전반적으로 선이 굵다.

수준 이하의 앰프라면 취향 이전에 고민할 가치가 없겠지만 이 정도의 퀄리티라면 여타 이름있는 유명한 브랜드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정도의 퀄리티와 색깔이 아닐까 싶다. 무엇보다, 가격이 참 착하다. 이 가격에 이정도의 앰프를 사용할수 있다는 점은 굉장히 큰 어드벤티지로 작용하지 않나 싶다. 연주하는 개개인의 취향에 맞는 선택을 함이 좋을듯 싶다.

특히 퍼즈와의 궁합을 생각한다면 빈티지 Plexi 마샬이나 펜더 앰프들을 브레이크업 해서 사용할 것이 아니라면 거의 이 가격대에서는 대안이 없어 보일 정도이다.


미루고 미뤄왔던 웨이브커스텀의 올드스쿨 헤드 리뷰를 마치려 한다. 연주 하면 할수록 매력적이다. 앞으로 레코딩이나 공연때도 활발하게 사용할 듯 싶다.
좋은 앰프를 접하게 되어서 너무너무 기분이 좋고, 차후에 나올 신모델들도 너무 기대가 되는 그런 브랜드인것 같다.

2017년 2월 25일 토요일

20170225 김창완밴드




Fender 89 62 Vintage Reissue Strat
Moollon T-Classic Tele

HSW Angel Dust
6 Degrees fx Millie Fuzz
Moollon SLO 201
Boss DS-2
Ashbass Fuzzbrite
Ibanez WH-10 Wah
Moollon Distortion
Line6 M9

Fender Deluxe Reverb Reissue (20W)

2017년 1월 27일 금요일

[20131107]새 기타

마음씨 좋은 콜렉터 분에게 좋은 가격에 구입한 64년산 펜더 머스탱.

사실 오리지널리티는 많이 손상 되있는 상태다. 리피니쉬가 되있고 지판에 자연 레릭 되있던 부분을 무언가로 메꿔놓은 느낌에 얼룩이 있다. (판매자분의 말씀에 의하면 전에 가지고있던 '서양' 주인이 참 멍청했나보다 라고 하시더라. 그 말에 약간 동감.) 그 외에는 전부 오리지널.

그치만 뭐 지판에 얼룩은 많이 치다보면 알아서 다시 떨어질 것이고, 리피니쉬 된것도 좀 야매 느낌이 없지않아 있긴 하지만 일단 칠은 얇게 되있는거 같아서 나름 만족.
물론 소리는 좋다. 확실히 울림도 있고 그 머스탱 특유의 뭐랄까... 하여튼 스트라토캐스터나 텔레케스터의 그것과는 또다른 매력이 있다. 머스탱 쳐보신 분들은 아시리라...

무엇보다 가격이 말이 안되는... 요새 신품으로 나오는 머스탱도 사지 못할 가격에 50년이 된 기타를 업어왔다는거 자체로 큰 메리트라고 생각중. 원체 외관과 오리지널리티를 따지지 않는지라...

나무가 50년이 됬다는데 큰 의의를...
정말 오리지널리티를 유지하고 있으면 이 가격에 절대 가져오지 못했을...

전에 호프너 기타도 그렇고... 약간 비주류 빈티지 기타를 싸게 업어오는 달란트가 생겼나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