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기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기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7년 10월 18일 수요일

Fender 89 'Corona Era' 62 Vintage Reissue Stratocaster

공연이나 블로그를 보신 분께서는 아실, 나의 손에 가장 오래 생존해있는 메인 기타이다.
2005년에서 2006년 사이에 낙원 '빅X악기' 에서 구입해서 지금까지 연주하고 있다.

89년 일명 'Corona Era'로 일컬어지는 시기의 끝자락에 생산된 리이슈 모델이다.
펜더의 두번째 흑역사를 장식한(74년 CBS 대참사 이후로), 90년대 N모델 리이슈가 아니라 나름 그 가치를 인정받는 기타이다. 내기타 자화자찬 쩌네 ㅎㅎㅎㅎㅎ
1년만 더 늦게 나왔으면 바로 망할뻔 ㅎㅎㅎ

실제로 빈티지 리이슈 원년인 82년부터 84년까지의 Fullerton, 85년부터 89년까지의 Corona는 오리지널 만큼은 아니더라도 가치를 인정받는 기간의 기타들이다. 그 직전의 74년 이후 모델들과 90년대 N모델이 하나같이 쓰레기인건 함정...
이미 컬렉팅으로는 관심도 없었고 오로지 플레이 목적으로 구입한 기타였다.
그래서 은근 손을 많이 댔다. 이미 돌이킬수 없는 ㅎㅎㅎㅎ
헤드에 담배자국도 내놨고...

Thin Lacquer Finish이며, 직역하면 '얇은 래커 마무리'? 정도 되지 않을까 ㅎㅎㅎㅎㅎ
자세히 보면 래커 피니쉬 특유의 크랙이 보인다.
플러튼, 코로나가 가치를 갖는 포인트 중 하나이다. 상당히 얇게 칠해져 있다.
얇게 칠할수록 바디 울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건 두말 할 필요 없는 사실이고.
요즘 리이슈도 이정도로 얇지는 않은 듯 하다.

이 기타의 년도를 마지막으로 펜더는 90년대 N모델이라는 희대의 망작 흑역사을 선보인다.
피니쉬를 래커가 아닌 우레탄으로 바꾼것이다. 아니 빈티지 리이슈에 우레탄이라니!!!!!
지들도 흑역사인건 아는지 2000년도부터 다시 래커 피니쉬로 회귀한다. 참으로 다행인 일이 아닐 수 없다.

셀프 레릭 해보겠답시고 사포 댔다가 망한 흔적까지 그대로...
일렉트로닉스 쪽도 손을 많이 댔는데 픽가드에 가려서 안보이지만 리어에 험버커를 박는 뻘짓도 해봤었다. 결국 다시 순정으로 돌아왔지만.

최근엔 Tone Capacitor를 70년대 초에 생산된 Ceramic Cap으로 교체했다.
캐패시터에는 큰 관심이 없었지만 한 블로그를 발견하게 되고...
https://m.blog.naver.com/jimmylab/220955244838
전에도 언급한 바 있는 '브릴리언톤 인스트루먼츠' 이소장님의 포스팅이다.

솔직히 말하면 첨엔 살짝 약팔이 냄새가 ㅎㅎㅎㅎ 났었는데 역시 궁금한걸 못참는지라 속는 셈치고 달아봤는데 헐.......
뭔가 그냥 음색이 바뀐다는 사실에 큰 충격을 먹고 가지고 있던 물론 텔레도 냉큼 바꿨다.
빈티지 납과 빈티지 벨덴 배선재로 와이어링을 새로 바꾼 것은 덤. 이또한 분명히 변화가 있다는 사실에 다시 한번 놀랐다. 솔직히 막귀라고 생각했는데 내게도 들릴 정도면.

기존에 달려있던 순정 캡은 정체를 모를 필름 캡이었다.
그리고 브릿지 픽업도 톤 노브가 먹게 배선을 해놓은 상태였다. 근데 무언가 브릿지 픽업 소리가 울부짖는 느낌이 잘 안나는 거였다.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리이슈의 달리는 캐패시터의 용량은 0.1uF이고 캐패시터는 톤을 전부 열어놔도 (즉 톤노브를 안돌려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몰랐기 때문에 위에 얘기한 현상에도 갈피를 못잡았던 것이다. 브릿지 픽업 자체에서 톤을 한번 먹고 들어갔으니.

현재 달린 캐패시터는 넥&미들 0.05uF, 브릿지 0.02uF 용량으로 장착되어 있다.
브릿지 특유의 고음을 최대한 살리면서 톤을 조정 가능하게 한 일종의 하이브리드 느낌이랄까? 이소장님의 추천으로 달게 되었는데 상당히 만족 중이다.

나머지 포텐셔미터, 셀렉터, 픽업, 브릿지, 암 등은 전부 순정.
현재 계획중인건 Original 64 Mustang 볼륨, 톤 포트를 떼서 여기에 달아보는거다 ㅎㅎㅎ
미친것같다 ㅎㅎㅎㅎㅎㅎㅎ


순정 파츠들을 잃어버리고 차선책으로 선택한 Fender Pure Vintage Saddle, Spring

이전에는 Raw Vintage Saddle & Spring을 거의 5년 가량 사용해왔다.
Raw Vintage Saddle이 처음 나왔을 당시에 아주 Hot한 아이템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나도 그 대세에 편승해서 한동안 오래 잘 썼다. 내친김에 스프링도 동사의 제품으로 바꿀 정도로.
발상이 뭔가 특이했고, 진짜 빈티지한 소리를 내준다고 믿고 잘 썼다. 실제로 소리가 다르기도 했고.
뭔가 음역대가 넓어지는 느낌이 확실히 있다.

근데 게속 쓰다보니 뭔가 헐렁~ 하고 멍멍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는 거였다.
그래서 이것도 순정으로 돌아가기로 결심! 하고 쟁여놨던 순정 파츠들을 찾았으나 찾지 못하고 일본 라쿠텐으로 주문을 넣게 된다.

Pure Vintage Series라는 라인업으로 빈티지 펜더에 쓰였던 픽업, 노브 ,헤드머신, 브릿지 어샘블리 등등 하여튼 기타 바디를 제외한 모든 것들을 Fender에서 오리지널 사양 그대로 복각했다고 한다. 결국 펜더도 이게 돈이 된다는걸 깨달은 셈이지 후후
요즘 나오는 New Vintage Reissue 모델에 순정 파츠로 장착되는 그것들이다.

그래... 내 펜더는 이런 소리였어... 하는 생각이 절로 들게 만드는 성공적인 파츠 교체였다.
Raw Vintage 는 개인적으로 펜더보단 써나 타일러 같은 상당히 솔리드(딱딱한듯한?) 악기의 그 느낌을 어느정도 완회시켜주는 목적으로 사용했을때 더 어울리는 거 같다.
빈티지 리이슈에는 안맞는걸로 내 멋대로 결론을 내려본다.

성격이 막 꼼꼼하고 그러질 못한지라 기타 다루기를 좀 많이 거지같이 다룬다.
항상 드는 생각이 만약 내 기타들이 말을 할수 있다면 나에게 '차마 여기에 적을수 없는 표현' 들을 엄청 쏟아낼거라는 생각을 문득 하곤 한다.

열심히 아껴주고 연주하면 더 좋은소리로 보답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2017년 1월 27일 금요일

[20131107]새 기타

마음씨 좋은 콜렉터 분에게 좋은 가격에 구입한 64년산 펜더 머스탱.

사실 오리지널리티는 많이 손상 되있는 상태다. 리피니쉬가 되있고 지판에 자연 레릭 되있던 부분을 무언가로 메꿔놓은 느낌에 얼룩이 있다. (판매자분의 말씀에 의하면 전에 가지고있던 '서양' 주인이 참 멍청했나보다 라고 하시더라. 그 말에 약간 동감.) 그 외에는 전부 오리지널.

그치만 뭐 지판에 얼룩은 많이 치다보면 알아서 다시 떨어질 것이고, 리피니쉬 된것도 좀 야매 느낌이 없지않아 있긴 하지만 일단 칠은 얇게 되있는거 같아서 나름 만족.
물론 소리는 좋다. 확실히 울림도 있고 그 머스탱 특유의 뭐랄까... 하여튼 스트라토캐스터나 텔레케스터의 그것과는 또다른 매력이 있다. 머스탱 쳐보신 분들은 아시리라...

무엇보다 가격이 말이 안되는... 요새 신품으로 나오는 머스탱도 사지 못할 가격에 50년이 된 기타를 업어왔다는거 자체로 큰 메리트라고 생각중. 원체 외관과 오리지널리티를 따지지 않는지라...

나무가 50년이 됬다는데 큰 의의를...
정말 오리지널리티를 유지하고 있으면 이 가격에 절대 가져오지 못했을...

전에 호프너 기타도 그렇고... 약간 비주류 빈티지 기타를 싸게 업어오는 달란트가 생겼나보다.

[20131012]세팅

10월 11일 광화문 광장 공연 당시 세팅

왜 그런날 있지않은가? '오늘은 텔레 너로 정했어!' 하고 들고나온 물론 텔레.
그리고 오랜만에 마샬 JMP. 한동안 리더님과 함께 오렌지를 써왔는데, 너무 MSG같은 사운드랄까. 확실히 좋은건 사실인데 금방 질려버렸다. (개인의 생각입니다 오렌지 좋아요 오해 마시길^^;;)
의외로 악기 렌트 하는곳에 저 앰프가 잘 없는거 같더라.
학교 다닐 당시 처음 써봤는데... 음 조그만한게 꽤나 파워도 있고 무엇보다 사운드가 일품. 가격도 일품. 여건이 되면 헤드만 사서 가지고 다니고 싶은 앰프다. 드림앰프 중 하나.

오 남자의 세팅! 역시 남자는 기타와 마샬이지! 라고 비추고 싶었으나 아쉽게도...

보다시피 난 페달 성애자라 페달은 필수다. 페달보드 없으면 연주가 안된다.
곡 수가 많거나 록페스티벌 같은데서는 셋리스트를 봐서 풀 세팅을 하는데, 곡 수도 많지 않고 저 페달보드로도 충분히 가능한 레파토리로 짜여진 공연이라 간단하게.
한동안 집에 모셔놨다가 다시 세팅한 물론 디스토션이 요새 아주 여러곡에서 잘 써먹힌다. 마샬 JMP와의 궁합이 매우 궁금했던 찰나에 경험해볼수 있었다. 그냥 최고.
얘들아 앞으론 마샬하고만 데이트 하자^^

풀톤 소울벤더, 혼다상의 Blue Gibeon, 역시 혼다상의 엔젤더스트, 그리고 물론 디스토션.
사실 이러쿵 저러쿵 말이 많고 가격이 좀 비싼 감이 있긴 하지만 확실히 혼다상의 페달은 항상 옳다 라는 느낌이다.
가장 최근에 구입한 저 밥공기 Blue Gibeon. 빈티지 빅머프 복각 형태의 페달인데 요새 아주 잘 써먹고 있다. 톤벤더를 복각한 소울벤더도 (물론 헉 소리나는 가격대의 톤벤더 복각품들도 많다.) 비로소 내가 찾던 사운드가 이거였구나 싶더라. 그냥 톤벤더 소리가 나에겐 잘 맞는거 같다.

드라이브 쪽은 대강 이렇게 거진 정리가 된거 같다. 2년 반 조금 안되게 김창완 밴드에서 활동하면서 밴드에도 맞고 내가 좋아하는 사운드를 찾아 이리저리 헤맸었는데 시름을 조금은 덜게 된거 같다.

리더님의 페달보드. 오랫동안 톤에 대해 계속 고민해 오시다가 결국엔 김창완 밴드 초기 때처럼 다시 페달보드 세팅을 하셨다.
대략적인 리더님의 세팅 변천사는 페달보드 -> 멀티이펙터 -> 앰프게인 -> 앰프게인(약간의 페달보드) -> 페달보드 이런식이다.
결과적으로 역시 페달보드 세팅이 최고의 사운드를 들려준다. 앰프 게인을 무시하는 느낌이 아니라 뭔가 조합의 다양성이 생긴다는데에 큰 의미를 두어야 맞는듯 하다.
꽤나 잘 짜여진 페달보드다. 최대한 간소화 하면서 김창완 밴드 특유의 사운드를 엿볼수 있다.
저기에 아주 괜찮은 퍼즈 페달 하나만 있으면 더 유니크한 사운드도 가능할듯 하다. 말씀드려봐야지.

한동안 나와 리더님은 계속 페달과 톤에 대한 얘기를 아주 심도있게 나눴었다. 나는 진작부터 조금 번거로우시더라도 페달보드 세팅을 적극 추천드린다고 말씀을 드렸었다. 톤에 대한 리더님의 고민이 상당부분 해소된거 같다. 연주하실때 표정만 봐도 알수있다 ㅎㅎㅎ

대기실에서 나와 리더님의 기타. 물론 T-Classic 과 S-Classic.
여러분. 국산도 충분히 좋아요^^